본문 바로가기
반려동물

[강아지] 슬개골 탈구

by 탐험하는 아멜리아와 앤 2020. 9. 30.

[강아지] 슬개골 탈구


'슬개골 탈구' 강아지를 입양하기 전에 공부를 하셨다면, 이미 많이 들어 보셨지요? 

아파트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기 때문에 작고 귀여운 소형견에 대해 찾다보면 슬개골 탈구가 잘 일어나서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발생한다라는 글도 많습니다. 


쓸개골? 슬개골? 

정확한 명칭은 슬개골(patella)이 맞습니다. 

슬개골은 슬관절의 전면에 있는 접시 모양의 뼈로 삼각형의 밤알 모양이며 무릎뼈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대퇴사두근의 건 안에 들어 있으며 대퇴골의 슬개면과 더불어 관절을 형성하며, 무릎의 굴신운동에 따라 잘 움직입니다. 이 뼈는 원래 대퇴사두근 종자골이지만 파충류 이상인 동물에만 있다고 합니다.


슬개골



슬개골 탈구가 잘 일어나는 강아지는?

치와와, 포메라니안, 말티즈, 요크셔테리어, 미니핀 등의 소형견과 선천적으로 약한 강아지들한테서 흔히 발생한다 합니다.



슬개골(쓸개골) 진행 단계

일반적으로 총 4기로 분류합니다.

1기 평소에 정상적인 관절 운동을 하거나 과한 운동을 했을 때 탈구가 되지만 바로 정상으로 돌아올 때

2기 일정한 힘을 가했을 때 잠시 탈구가 되지만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면 슬개골이 돌아와 정상적인 관절 운동을 할 수 있을 때

3기 평소에 탈구가 되는데 이때 힘을 가해 넣어주면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가지만 다시 탈구가 될 때

4기 탈구가 계속 지속되는 경우로 탈구된 곳의 인대가 짧아져 슬개골이 다시 돌아가지 않아 정상적으로 관절 운동이 힘들 때


슬개골(쓸개골) 탈구 증상

1 슬개골 탈구가 된 쪽의 다리를 절뚝이며 걷는다.

2 관절에서 뚝 또는 딱 소리가 난다.

3 잘 걷거나 뛰지 못한다.

4 뒷다리 모양이 o자 다리 형태로 휘어 있다.



예방과 관리법

1기나 2기부터 큰일 나는 것 아니야?! 하며 무조건 수술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. 물론 상태는 전문가와 상의를 해 보아야 하지만 저도 많은 글을 찾아보니 무조건적으로 초기 단계부터 특히 어렸을 때 발생을 때 수술을 하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케어를 해 주면 회복이 된다고 하는 경험글을 보았습니다. 


어찌저찌해도 역시 슬개골 탈구가 되기 전에 미리 예방을 해 주면 더욱 좋겠지요?


1 폭신한 매트, 소파에 올라간다면 계단 설치


사람이 걷기에는 미끄럽지 않지만 방바닥이 강아지들에게는 굉장히 미끄럽습니다. 조금만 턴을 하던가 뛴다면 멈추려 할 때 저만치 미끄러져 가 있음을 볼 수 있을겁니다. 그 때마다 무리가 오고 그것이 쌓여 탈구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.


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트를 깔아 줍니다. 종류와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. 

강아지 전용 매트, 유아용 퍼즐 모양의 매트, 사람용 요가 매트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좋은 것은 강아지 전용 매트가 당연히 좋다 생각합니다. 어린 강아지를 키우는 분들이라면 특히 더 그렇습니다. 정확한 배변활동, 물지 않는 습관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봤을 때 전용 매트가 좋습니다. 가격이 비싼 것만 빼면 말이죠. 

유명한 브랜드 3~4개를 보면 기능이 거의 비슷합니다. 가끔 이벤트를 하는 기간을 잘 잡아 구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소파나 침대를 오르락 내리락 하는 아이들에게는 계단이나 슬라이더가 필요할텐데 개인적으로는 충격이 덜 가는 슬라이더를 추천합니다.


2 체중 관리

사람이나 강아지나 같습니다. 살이 찌면 다리 관절에 무리가 갑니다. 슬개골 탈구가 올 확률이 매우 높아지니 적정량의 밥과 간식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.


3 영양 채워주기

강아지 사료도 종류가 많지요. 기능성 사료가 많기 때문에 관절 케어를 집중으로 한 사료를 챙겨 줍니다. 영양제 종류도 많기 때문에 관절 영양제를 함께 먹여 예방에 도움을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.


저도 키우는 반려견들이 슬개골 탈구가 걸리지 않기를 바라며 예방을 잘 해 보도록 해야겠습니다.

다른 좋은 팁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.








댓글